사주명리에서 격국론의 문제점과 약점 등에 대하여
사주를 풀이할 때, 격국을 얘기하게 된다.
이 격국에 대하여 많이 얘기하는 고서 중의 하나가 자평진전이다.
그런데, 사주에서 격국에 너무 과도하게 무게를 두게 되면,
때로는 잘못된 풀이가 나올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주가 있다고 하자.
乙 丙 庚
酉 申
위의 사주에서 을목 일간이라면, 천간의 경금은 정관이다.
이런 경우, 단순하게 보면, 월지 신금에서 투간한 경금으로, 정관격에
병화, 상관이 상관견관하여 안 좋다고 볼 수 있다.
격국론으로 단순하게 보면 그렇게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신월에 금기운이 경금, 지지 신금, 유금으로 강하니,
이런 경우는 강한 금기운을 제극하여 눌러 주는 천간 병화는
단순하게 흉신이 아니라 좋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일종의 병약용신 역할로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단순하게 격국론에서 상관견관으로 보면,
단순하고 평면적인 해석이 될 수도 있다.
을목에게 병화는 진신이요, 존신(존귀한 신) 이며,
가을이나 겨울에 병화의 기운은 태양에 해당하여 중요한 기운일 수 있다.
단순하게 상관견관으로만 해석하거나 볼 것은 아니다.
https://sajuunse-story.tistory.com/notice/14
사주상담 안내 글
사주상담 안내 상담,간명 문의 010-8942-8952 상담 하시려는 분들 문자 주세요. 안내 해 드립니다. 사주운세의 흐름이 물길의 흐름을 보듯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다면, 물길이 어디에서 발원하여
sajuunse-story.tistory.com
이 사주에서 경금은 십신으로 정관이니, 중요한 기운이다.
그러나, 사주에서 금 기운이 강하거나 과다하여 문제가 된다면,
정관이라 하여도 이런 경우에는 편관이나 칠살처럼 작용할 수도 있다.
월지에서 투간하여 제강의 기운이며, 중요한 기운이지만,
그 역할이 어떤가, 사주 전체를 보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정관의 기운은 손상해서는 안된다고 격국론을 단순하게 해석한다면
그 또한 해석의 오류를 불러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격국론이나 자평진전에서는 월지와 월지에서 투간한 성분을 중심으로 희기를 가리나,
이 또한, 잘못하면, 월지 중심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사주 전체의 흐름을 놓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월지 자체가 사주에서 어떤 역할이나 작용을 하는가 자체를 때로는 볼 필요가 있다.
위의 사주에서는 월지 신금을 중심으로, 금기운이 강하게 있다 보니,
월지의 기운이나 월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기운이 일간 자체에게는 부담이 될 수도 있는 흐름이다.
이런 경우, 정관, 경금을 손상하거나 제극하면 상관견관이다 라고
해석하면 단순하고 평면적인 해석이 될 수도 있다.
사주는 사주 전체의 흐름을 살펴서 이해하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얘기할 수 있다.
격국론이나 자평진전식 관점에서 월지와 월지 투간자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가 있고 중요하나,
이를 너무 과도하게 강조하게 되다 보면
사주 전체의 흐름을 놓치고 잘못 이해할 수도 있다 보여지기 때문이다.
사주 전체적인 흐름과 작용 등이 우선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모습 등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사주운세 풀이, 사주운세 감명,운세상담
<사주운세스토리>
'사주토크,새롭게 보는 사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주상담 안내,채팅 사주상담 안내 * (2) | 2024.01.16 |
---|---|
자평명리 창시자 서자평과 진희이,마도자와 무당산에 얽힌 이야기 2,사주도담,사주명리 이론,사주 이야기 (0) | 2023.09.12 |
사주에서 왜 일간을 본인으로 보는가? 자평명리 창시자 서자평 이야기 1 (0) | 2023.09.09 |
정화 일간에게 축토는 좋은 글자인가? 나쁜 글자인가 (2) | 2023.08.26 |
사주 기초 알기쉽게 해석방법 3,사주기초와 사주명조 고급 실전 해석하는 방법,사주명리 강좌,사주명리 이론 (1) | 2023.04.07 |